명방 한정캐를 알아보자!

조회수 1,698

남캐방주 5성편을 하려했는데 사실 명방에서 5성 자체가 애매하다.

가성비를 따지면 4성을, 특출난 능력을 따지면 6성을 고르다보니 명확한 자신만의 특징이 없으면 5성은 버려지기 마련.

그래서 한정캐(한섭기준) 평가를 작성해봅니다. 이번에도 그림은 없어요 ㅜㅜ


1. 한정캐란?


명방은 3개월을 주기로 기간 한정캐가 등장하며, 천장은 300뽑을 기준으로 한다. 처음 나올때는 확률업으로 나오며, 다른 한정캐 배너부터는 픽뚫로 나오는데 이 확률이 매우 낮은지라 앵간하면 초반에 나올때 뽑는게 좋다.


그리고 진정한 의미에서 한정캐는 콜라보캐릭터로 레인보우식스 시즈에서 나온 Ash와 한섭에 곧 나올 몬헌 콜라보 특야토가 있다. 애쉬는 어쩔 수 없고, 성능도 막 사기까지는 아닌데 특야토는 성능도 우와 소리나오며 콜라보 천장은 120뽑에 20뽑은 그냥 주니 100뽑만 준비해 놓으면 된다. 점장이 오래 할거라면 진짜 한정인 특야토는 뽑는게 어떨까?


2. 한정캐 평가

출시 순서로 알아보자!


(1) 니엔

최초의 한정캐, 현재 나오는 총웨의 동생들 중 하나. 탱커 직군으로 출시 초기엔 인프라에서 상위 재료 만드는데만 좋다는 평가가 있었으나 모듈로 떡상하여 물리 방어에 있어선 최강이 되었다. 

다만 디펜더 특성상 혼자서 뭘 할 순 없다보니 초보자 입장에선 우선순위가 떨어지는 한정캐


(2) W

적이 아군이 되었다! 초반 스테이지에서 시한폭탄으로 우리 대가리를 날리던 그 친구가 맞다. 3개의 스킬 모두가 기절이 있으며, 기절한 적에게 더 강한딜을 넣는 특성을 가진 포격사수(스플딜) 니엔과 정반대로 출시 당시 전투 성능이 좋고 인프라가 별로였지만 현재 인플레가 진행된 상태에서 그렇게 눈이 돌아갈 성능은 아니다. 그냥 이쁘니 사자 정도?


(3) 로즈몬티스

일명 쪽냥이. 스나인 주제에 공중공격을 못하는 투척군이라는 직군을 가졌으며, 성능도 좀... 외적으로나 성능으로나 같이 나왔던 통상 오퍼인 머드락이 더 주목을 받았던 캐릭터. 이 캐릭 역시 애정캐. 내가 한정에 눈이 멀었다 그런게 아니면 뉴비는 볼 필요 없다.


(4) ASH

레인보우식스 시즈의 콜라보로 나온 캐릭터. 등장시 주변에 기절을 먹이며, 3스킬 사용시 기절 + 빠른 공속 + 뎀증으로 스나이퍼 주제에 떡장을 상대로 유의미한 피해를 입히는 모습을 보임

기절에서 보이듯 W와 같이 사용하는 모습도 보였지만 지금은 다른 캐릭터들에게 밀려 '진짜 한정'이라는 타이틀 이외엔 별로 좋은게 없다.


(5) 시

니엔과 마찬가지로 총웨의 동생들 중 하나로 스플딜을 먹이는 광역 캐스터에 해당한다.

강하고 큰 범위에 편하게 쓰는 1스킬과 광역+공격시 탱커를 세우는 독특한 3스킬을 사용하는 캐릭터로 성능은 나쁘지 않지만 애초에 게임내에서 광역 캐스터 자체가 좀 취급이 안좋다.

단일 캐스터임에도 유사 광역딜을 넣은 에이야나 마딜의 종결자인 수르트 같은 대안이 있으며, 광역 캐스터의 코스트값이 너무 많아서 굳이? 라는 느낌이 드는 직군. 물론 6성값 자체는 하니 키워도 상관은 없다.


이 이전까지의 한정캐들은 한정치고는 성능이 사기까진 아니네? 라서 필수는 아니지만 이후부터의 한정캐들 성능이 점점 강해져서 이걸로 비판하는 사람들도 충분히 있다.


(6) 스카디 더 커럽팅하트

일명 보(조)카디 혹은 서(포터)카디

스카디란 캐릭터가 이샤믈라라는 강력한 해사에게 져서 몸을 뺏긴다면? 이라는 IF설정으로 만든 캐릭터.

본체는 유사 암살자 가드인 드레드노트였지만 서카디는 도트힐+공+방업이라는 성능을 가지고 나왔다.

해당 버프들이 꽤 좋은 성능을 가졌고 힐, 공, 방 셋 중 어느 곳에 중점을 두냐에 따라 3가지 스킬을 모두 잘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

채감보단 역체감이 더 한 캐릭터이며, 공격이 아예 불가능한 수준(3스가 딜이긴 한데 굳이 딜용으로?)이다보니 캐릭터 풀이 적은 초보는 우선순위가 떨어지는게 사실.


(7) 첸 더 훌룽데이

일명 수첸

칼 쓰던 첸이 수영복에 물총을 들었더니 테라를 초토화시키고 있다.

3스킬만 사용하며 첸 하나만 있으면 앵간한 엘리트, 보스는 그냥 녹아버린다.

강한 물리딜은 트루딜에 가깝다는 말을 체현시키는 충격적인 존재로 낮은 퀄리티의 2차 정예화 일러 + 엉뚱하기 짝이없는 컨셉 + 그에 반대되는 무친 성능으로 미친 듯이 욕을 먹은 캐릭터다.

그래서 뭐? 이 미친 성능을 보고 안쓸래?????


(8) 니어 더 레디언트 나이트

빛의 기사라는 의미로 가드니어, 영어권에선 앞글자를 따 NTRKnight라고도 불린다.

조건부 트루딜과 시간이 지나면 무한지속되는 1스킬도 실용성은 있지만 주로 쓰는 것은 2스킬로 배치시 주변에 기절+트루딜을 넣는 1특성+방관의 2특성+배치수0에 강한 딜, 딜 몇번은 무조건 막는 방어로 고난이도로 갈 수록 사랑받는 캐릭터가 되었다. 이친구도 유사 수류탄이다.


(9) 링

니엔 시와 함께 총웨의 동생들 중 하나로 장녀에 해당한다.

직군은 소환수로 솔플의 여왕이다. 주로 쓰는 스킬은 3스킬로 두마리의 용용이가 합체를 해서 강력한 용용이가 된다. 링에 드론만 막아줄 캐릭터가 있으면 왠만한 맵은 완막한다.

쓸 캐릭터가 적을 초보자일 수록 링의 성능이 진가를 보이는게 큰 특징이나 동시에 초보자가 키우기엔 좋지않는 독특한 캐릭터로, 소환수의 성능이 본캐인 링의 레밸에 의존하며, 모듈이라는 엔드급 장비가 높을 수록 소환수의 배치 코스트가 낮아지고 동시에 배치 가능한 소환수의 숫자가 늘어나다보니 링을 활용하기 위해선 극한까지 키울 필요가 있는데, 이정도로 키울 정도면 사실 링이 필요가 없다.

가장 좋은 방법은 할아버지들의 링을 빌리는 것, 내가 아직 이벤트를 깰 여력이 안된다? 할아버지에게 만랩링을 빌려달라고 하자.


(10) 스펙터 디 언체인드

일명 언팩터, 5성에 있던 스팩터가 제정신을 차렸다는 컨샙의 캐릭터

자신이 죽으면 인형이라는 대타를 내새우는것이 특징으로 다른 캐릭터와 달리 원코인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자.

성능은 나쁘진 않으나 이친구도 모듈을 통해 AS를 잘 받은 케이스라 좋게 사용하려면 모듈까지 장착해야한다. 키우고나면 2스킬의 무적이나 3스킬의 강한 딜+탱, 인형사 특성으로 인한 한 라인 막기 등 꽤 쓸만해진다.


(11) 가비알 디 인빈서블

일명 수(영복가)비알, 메딕 직군의 가비알이 가드로 내려온 것으로 육성시 기본 3저지 스킬 사용시 최대 5저지까지 가능한 캐릭터, 나름 탱키한 몸과 기본적으로 스플딜인 평타, 혼자 최대 3라인을 막을 수 있는 2스킬로 준수한 성능의 국밥캐릭터.

다만 국밥캐의 경우 다른 캐릭터들도 충분히 괜찮다. 국밥캐라면 꼭 가비알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은 있을 수 있음.


(12) 텍사스 디 오메르토사

일명 특사스, 5성 뱅가드가 처형자 직군 스페셜리스트로 바뀐 것으로 게임에서 라플란드가 그렇게 찾던 시라쿠사로 돌아간 텍사스. 사실상 칼든 존윅이다.

보스 극딜이 가능한 2스, 대량 학살에 능한 3스로 상당히 범용성 있게 쓸 수 있으며 짧은 배치쿨로 구멍난 곳 어디든 덕지덕지 붙여버리는 만능 테이프같은 존재이다. 특사스+특야토가 사실상 메타를 주도해버린 수준이니 말이 필요없는 성능.


(13) 총웨

한섭 기준 가장 최근의 한정 캐릭터. 최초의 오리지널 남성 한정캐

지원과 예열 후 지상 한정 10가량의 코스트가 믿기지 않는 미친 딜을 뽐내나 뉴비가 이 지원을 만드는게 힘들다는게 아쉬울 뿐.


  1. 이런 장문의 글 너무 감사해요 총웨를 더욱 잘 키우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네요 
  2. 점장 100뽑 존버해서 특야토는 뽑장....